허용전류와 전선의 굵기 계산하는 공식: 한국전기설비규정 KEC

이미지
허용전류를 계산하는 공식이 있습니다. 허용전류 계산 공식은 I = a * S^m - b * S^n 입니다. 허용전류는 전선의 종류와 배선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.   허용전류표에 나오는 수치는 전선이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때의 허용전류라고 보시면 됩니다. 여기서는 허용전류 계산식과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의 관련규정도 살펴보겠습니다.     허용전류와 전선의 굵기 계산하는 공식 혹시 간단한 전선의 허용전류를 위한   KIV 허용전류 계산기 를 마련해 놓았습니다. 차단기와 전선굵기 계산기     허용전류 계산식 I = a * S^m - b * S^n I : 허용전류(A) S : 도체의 공칭 단면적(mm^2) a, b : 케이블의 종류와 설치 방법에 따른 계수 m, n : 케이블의 종류와 설치 방법에 따른 지수     예를 들어, 옥내배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절연전선의 단면적이 2.5mm^2 이고, 배선방식이 A1 , 부하도체 3개 인 경우를 가정해보겠습니다. 배선방식에 따라 허용전류가 차이가 나니  배선방식의 종류 를 참고 하세요. 배선방식 A1     허용전류 계산 허용전류(A) = 케이블의 종류와 설치 방법에 따른 계수a 곱하기 도체의 공칭 단면적(mm^2)^케이블의 종류와 설치 방법에 따른 지수m 빼기 케이블의 종류와 설치 방법에 따른 계수b 곱하기 도체의 공칭 단면적(mm^2)^케이블의 종류와 설치 방법에 따른 지수n   해당되는 수치를 넣어 계산을 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   허용전류(A) = 10.8 * 2.5^0.6015 - 0 * 2.5^0 = 16.48A   이 경우에는 16.48A 이하의 전류를 흘려야 안전합니다.   위에 있는 허용전류 계산식에서 나온 수치들은 한국표준협회에서 만든 KS C IEC 60364-5-52 문서안에 표에서 볼 ...